|
MAGAZINES REVIEW (雜誌重溫)
(續)6 E2 W$ E4 Q& O" ^: p# m! q
! b# w; W8 s8 d0 L! P8 B) |
介紹 2008 那段時期上演舞台劇:1 S/ b" k0 C4 v4 l
http://www.sac.or.kr/magazine/s_m_view.jsp?mag_id=31799 v: ~; |, R" G: v$ u+ c& [1 p
" f0 q- P& ?4 `# C9 s8 j2009 舞台劇:
2 s0 }9 t/ E3 H; ]! H; [; n% O$ {http://www.playdb.co.kr/magazine/scrap/scrap.asp?kindno=4&no=3668 G7 g5 W( ]. \9 I0 ~9 k
3 g4 ]( p- C7 F( w( _ C* d( G
% G9 c$ |! [+ h | | [table=98%] | [table=98%] | <남한산성> 비통하면서도 장엄함이 느껴지는 그 무대 | 작성일 2009.09.24 |
| ; M E8 n2 ~. w9 d/ d% h9 J# {
- ]- j3 i! l8 X8 P7 T. a3 b
두 팔 벌린 허수아비처럼 남한산성의 위용이 공중에 떠 있다. 원작 소설 남한산성을 쓴 김훈이 “비통하면서도 장엄함이 느껴진다”며 깊은 인상을 이야기 했던 포스터를 비롯, 뮤지컬 <남한산성>의 의상과 노래 등 공연의 실체가 공개되는 순간이었다.
- }2 E* _7 c+ p6 m5 e# h$ S: a2 p0 U' F, p7 E% W& t3 e
9월 24일 충무로에 위치한 한국의 집에서 뮤지컬 <남한산성>의 최종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칼의 노래’, ‘현의 노래’ 등의 소설가 김훈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한 뮤지컬 <남한산성>은 이날 배우들의 의상과 무대, 주요 넘버를 소개했다. ‘혹독한 환경 속에서도 삶을 견뎌내던 숭고한 정신’을 바탕으로 현대 뮤지컬에 맞는 모던함을 추구하겠다던 애초의 의도가 어떻게 형상화 되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리였다. + R! ^3 p# B! U1 I
6 _4 x8 Y7 Q1 T7 b' m. I" L무대디자인을 맡은 정승호는 무대의 주 재료로 대나무를 선택했다. “곧고 기개 넘치는 나무의 특성은 청나라인을, 번신력이 강해 어디서든 살아 남는 특성은 우리나라 민족을 닮았다”고 설명하며, “날카로운 선 적 구성은 청나라를, 넓은 면 적 구성은 우리나라를 상징해 면을 가로지르는 선 등을 통해 극적 상황을 나타내고자 했다”며 무대의 구성을 설명했다.
+ o1 K# x t7 s* W& n7 D+ V- u2 U: Z5 t9 J/ n
배우들의 의상 역시 또 하나의 도전이라 수식한 의상디자인 담당 이유선은 “실제 무대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았던 모시, 삼베 등을 써서 확연히 다른 느낌을 주고자 했다”고 했다. 무대에 많이 응용되는 대나무를 의상에서도 활용한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1 }- Y4 x2 t7 Q7 T+ C/ x' r! ~, U1 j$ _! Z, k. w
이날 이필모와 함께 주인공 오달제 역을 맡은 김수용과, 오달제의 부인 남 씨 역의 임강희는, 오달제가 아내를 두고 남한산성으로 떠나는 이별의 마음을 노래한 ‘별리’를, 또 부인 남 씨와 매향 배해선이 ‘차마 놓을 수 없어’를 부르며 한 남자를 사이에 둔 두 여인의 애틋한 마음이 엿보이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9 c" S; l- h+ h' ^8 g9 w0 d( ~
Q$ I8 T# f; c7 @아이돌 그룹 슈퍼주니어의 멤버로, 뮤지컬 <남한산성>에서 조국으로부터 받은 상처를 복수하는 통역사 정명수 역을 맡은 예성은 의상을 입고 무대에 오를 때 깜찍한 댄스를 선보여 긴장된 분위기에 웃음을 던지기도 했다. " K: ~( F3 W2 z
! V- T( d' x2 d: w" f7 C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낸 거대한 역사극 뮤지컬 <남한산성>은 성남아트센터에서 10월 9일 프리뷰를 시작, 10월 14일부터 11월 4일까지 본 공연을 이어갈 예정이다. 7 d! g7 q. K/ P; o( u
4 X# M: o5 ^) Q1 M뮤지컬 <남한산성> 최종 제작발표회 현장: s/ m: X; Y9 @
6 Y7 l: ^7 e+ ^8 ^: l% h) N! g
. @) U7 j' m: }$ B/ [% N8 u7 O0 M5 ^% t+ B! H8 R! Y Z! ]
작품의 원작 소설 남한산성의 작가, 김훈.
2 T7 Q1 ]2 ~: p, @: j
; r8 }: g1 g0 @* w0 Z n2 ?드디어 공개된 주인공 오달제(김수용)의 의상. r* H+ J9 g3 N+ _
- u0 P( c* k9 \* v9 t7 H; J/ v1 I
청나라 황제 홍타이지(서범석)의 의상은 날카로운 대나무를 응용했다." A, X t0 M9 j/ h
% S' Q/ J4 w8 O/ V" g3 s청나라 통역사인 정명수(이정열, 예성).
1 W/ [# A v4 L/ d( E: E6 q5 B9 ~ u7 X- {2 `5 t- q) R* Q6 x) `( l I
오달제의 부인인 남 씨(임강희)의 구슬픈 노래.
+ X* i9 \; C W0 _" Z
% f7 S# K8 [- R: n6 O; B; j오달제를 마음에 품기는 매향(배해선)도 마찬가지.* l( w7 x' ]: ?7 V5 ~0 W
* m; V& k2 C% Y/ ?무엇을 어찌해야 할 것인가. % `. f# b. K5 e* l5 }1 k" D
오늘은 잠시 고민을 접어두기로 한 듯한 인조(성기윤)의 미소, # _0 L6 d/ h+ @8 w4 ?% }
천진한 나루(박도연)도 함께 방긋.
9 S( i; W+ c+ R" Q7 B+ ~. W6 j$ S. p3 t6 s" q% ]
재기 넘치는 민초, 훈남(오른쪽 이훈진)과 순금이(왼쪽 김경선) 부부.
3 G1 J( [: B: [4 @, ]
3 s1 u3 b& \8 g* y2 \4 N' @3 F살아서 죽을 것인가, 죽어서 살 것인가.
8 n2 }# S$ K. b0 [/ ^# d최명길 역을 맡은 강신일(왼쪽)과 오상원(오른쪽).3 J4 D. X+ b2 d) ?7 U n6 T% b3 G q; ^
+ X0 P* A- }- L5 B$ P이제 나는 떠나오, 오달제와 남 씨가 부르는 "별리"., [& F( M6 t; R) ^0 R. j, Y: |
2 g1 ~' f: ]5 P0 E한 남자를 가슴에 품은 두 여자, 남 씨와 매향의 "차마 놓을 수 없어".
$ b0 X8 C7 u+ U; y2 Z; e' @5 {" U( F& A5 d) x# O5 k
"남한산성 화이팅!"4 K! j% @4 m3 b# F g% E, E
8 ^3 `4 V# L( B2 }! ]& V7 e( Y글: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 [8 _& G% Q9 Z사진: 다큐멘터리 허브(club.cyworld.com/docuherb) & b8 E, m/ Y( q: V
6 |( E1 |" |1 Z1 t6 r; W
$ G0 m+ V2 k4 `1 W) _2 h- T) a* P[ⓒ 플레이DB playdb.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6 }+ }. w2 I) d n
^ 原來可以抄過來 ^ (上)( l1 Z$ q7 T2 r6 [/ r
1 y& `- ]# d H, r" n% r& t
) s0 X H4 d% ?4 x; I
? ? http://www.moazine.com/magazine/list.asp?listtype=volume&subtype=viewDetail&magazineid=302&v_id=11954$ q% w# y6 N3 @7 a h5 `- V
3 [# }3 s- I8 f6 L
請大家試找一找 那裡有必模資訊顯載. (應該是 室內家居)7 U* e2 `' M2 K% E5 x9 ]$ z2 H
+ z" _! _. ?9 ^5 {& i- _
[ 本帖最后由 33lpmhk 于 2011-8-27 11:48 编辑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