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采访文字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은 예고편부터 애틋해 보이던데요. 슬픈 멜로인가요?
달달한 멜로가 주를 이루는 건 아니에요. 제가 보기에는 위험을 무릅쓴 주제가 무거운 드라마예요. 최근 드라마 경향이 무거운 주제를 잘 다루지 않잖아요. 그런데 이 드라마는 마냥 밝고 ‘알콩달콩한’ 느낌의 멜로는 아니에요. 묵직해요.
<인현왕후의 남자>를 흥행시킨 송재정 작가의 작품이에요. 이번에도 소재는 ‘타임 슬립’이고요. <인현왕후의 남자>를 생각하고 보는 누군가는 실망할지도 모르겠는데요?
시청자는 종종 스스로가 만든 함정에 빠질 때가 있는 것 같아요. 대본을 받으면 작가가 배우나 시청자를 위해 쓴 것 같은 작품이 있고, 작가 자신이 쓰고 싶은 것을 쓴 작품이 있는데, 이번 작품은 후자인 것 같아요. 특별히 시청자 기호를 의식하면서 쓴 작품은 아닌 듯해요.
송재정 작가도 그렇게 생각할까요?
모르겠어요. 적어도 저는 그렇게 느꼈어요. 미국에서 다른 작품 촬영 중에 대본을 받았는데, 너무 재미있어서 흥분할 정도였죠.
그때 몇 화까지 봤어요? 8화까지요.
꽤 많이 보냈네요?
오래 준비하신 작품이니까요. 이야기가 비장하고 묵직하고 먹먹했어요. 정말 오랜만에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드라마였죠. 사람들의 구미를 당기게 하는, 순간의 재미를 주는 그런 작품은 아니었어요. 송재정 작가님이 용기 있게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썼다고 생각해요.
제목을 보니 ‘향’을 매개체로 시간여행을 하는 것 같던데요.
타임 슬립을 과학적으로 이해시키려면 한도 끝도 없다고 생각해요. 많은 부분은 그냥 그렇다고 믿는 거죠. 이유가 없는 거예요. 사람들이 신을 믿는 것처럼요. 난 이 작품이 타임 슬립의 과학적 근거를 어설프게 설명하려 하지 않는 게 마음에 들었어요. ‘어떻게 가는지’에 집중하지 말고, ‘왜 가는지’에 집중하자는 거죠. 물론 극 안에서는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어요. 대본을 받자마자 작가님의 필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직감했죠.
그럴 때 이런 생각은 안 하나요? ‘왜 이렇게 대단한 작품이 나한테 왔지?’
당연히 하죠. 기본적으로 그렇게 생각하는 편이에요. 저 자신에게 오는 행운을 의심하는 편이죠. 왜 이걸 아무도 안 한다고 했지?
혹시 별명 없어요? 없어요. 저한테는 친구들이 별명 부를 생각을 못해요.
감히?(웃음)
그런가? 별명 불리고 놀릴 그런 분위기가 아닌가 봐요. 예전에는 친구들이 저를 어려워했어요. 지금은 완전 변했죠. 그 기점은요? 군대 갔다온 전후요.
군대에서 고생 많이 했나 봐요.(웃음)
그것보다는 ‘불가항력’이란 것을 처음 느껴봤다고 할까요? ‘지금까지 내가 운 좋게 편하게 살았구나’ 생각했어요. 여러 고민을 하던 차에 제가 사회와의 소통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됐죠.
닫혀 있었다는 뜻인가요?
대화가 어려웠어요. 나중에 주변 사람한테 들으니 저를 혼자 둬야 할 것 같았대요. 말을 걸면 안 될 것 같고. 충격이었죠. ‘아, 내가 그런 이미지였구나.’
사람에 대한 애정이 없었나요? 사람 관찰은 즐겼어요.
그럼 애정은 있되 그것을 겉으로 드러낼 만큼의 기술이나 변죽이 없었다는 뜻인가요?
저 자신이 사회 안에 속해 있지 않으니까 그 기술이 필요 없다고 생각했죠. 내 안에서는 완전하니까요. 관찰하고 생각하는 습관은 배우로서 큰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니 갇혀 있었어도 어떻게든 흉내는 내면서 연기할 수 있었던 거죠.
소통에 눈을 뜨니 연기가 편안해졌나요? 조금 자유로워진 것 같아요.
좋은 결과네요. 완전히요.
어쩌면 평소 소통하지 않는 대신 에너지를 품고 있다가 연기할 때 모아서 쓴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입밖으로 소리 내지 않고 ‘저 소리를 어떻게 내면 되겠다’고 알고 있는 게 도움은 되겠지만, 그렇다고 그 소리를 완벽하게 낼 수 있는 건 아니잖아요. 해보니까 알겠더라고요. 그동안 머리로만 알던 것들이 표현이 잘 안 된다는 걸요. 제가 한참이나 수준이 낮았던 거죠.
연기는 몸으로 하는 거니까요.
그렇죠. 그래서 여러 감정이 섞인 소리를 다 내봐야죠. 이미 귀는 알아요. ‘밥 먹었니?’를 표현할 수 있는 소리가 백 가지는 있다는 것을. 하지만 몸은 고작 다섯 가지 정도만 내고 있을 뿐이죠.
“대중의 호응 없이도 자기 선을 잘 지키는 배우가 있는데, 저는 그 정도까지 매력이 있는 배우는 아닌 것 같아요. 제가 배우로서 힘을 가질 때까지 외부 반응을 받아들이고 끊임없이 소통해야죠. 지금도 소통이 사실 불편하긴 해요. 얘기하다 보면 ‘분명 쟤 4차원이야’라고 생각하는 게 보이기도 하고.”
예전에 인터뷰했다면 말수가 훨씬 적었겠네요? 그렇죠.
단답형? 그건 아닌데, 얘기는 해도 소통은 하지 않았다고 할까. 경험도 없으면서 제가 엄청난 어른이라 생각했죠.
그때를 생각하면 창피해요?
아니요. 부끄럽지는 않고 안타깝죠. 그때도 분명 깨달을 수 있는 것들인데. 생각만 하다 보낸 20대가 눈물이 날 정도로 안타까워요. 엄청나게 행복했을 순간을 많이도 지나쳐온 거죠. 백날 고민만 하면서.
왜 그런 걸까요?
몰라요. 으하하. 게으름? 소심함? 또는 엄격함? 집안 내력인 것 같아요. 집에 적극적이거나 활동적인 사람이 한 명도 없어요. 그저 생각하는 기질을 물려받은 것 같아요.
지독한 관찰자가 배우가 된 다음은 어땠어요?
20대에는 사람들이 제 이름을 부르거나 누가 저를 쳐다보는 게 너무 싫었어요. ‘왜 나를 알려고 하지? 나는 관찰자야.’
그런데 이상하네요. 왜 배우가 됐죠? 배우는 대상화되는 존재잖아요.
특별히 그런 생각을 못했어요. 어릴 때부터 만화, 드라마, 영화를 좋아했지, 누가 저를 본다는 생각을 못한 것 같아요. 얼마 전까지도 사람들이 제 작품을 많이 보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어요.
혹시 본인이 연기하는 캐릭터를 관찰하는 건가요?
그럴지도. 연기는 가짜잖아요. 제가 그 사람의 몸이 되어 연기하는 것뿐이지. 단순히 설명하기는 힘들어요.
지금은 어떤 마음으로 연기하는 건가요?
절충이요. 대중의 호응 없이도 자기 선을 잘 지키는 배우가 있는데, 저는 그 정도까지 매력이 있는 배우는 아닌 것 같아요. 제가 배우로서 힘을 가질 때까지 외부 반응을 받아들이고 끊임없이 소통해야죠. 지금도 소통이 사실 불편하긴 해요. 얘기하다 보면 ‘분명 쟤 4차원이야’라고 생각하는 게 보이기도 하고.
‘4차원’이란 말이 기분 나쁘게 들리나요?
그건 아니지만, 저에 대해 잘못 이해하는 게 보이거든요. 저란 캐릭터에 대한 이해가 하루 이틀 안에 가능한 것도 아니고. 그냥 그럴 때는 입을 다무는 게 상책이죠.
얼굴이 좀 바뀐 것 같아요. 어떻게요?
평범해진 것 같아요. 보통 남자. 그럴 수도 있죠. 마음가짐 자체가 평범해졌으니까. 평범하다는 게 주위와 잘 섞인다는 말로 들려요. 긍정적이에요.
직업 특성상 주변에 멋지고 재능 넘치는 사람이 많잖아요. 그럴 때 자기 자신을 돌아보지 않을 도리가 없을 텐데요.
비교든 비하든. 배우는 감정 기복이 심한 편이잖아요. 저점에 있을 때 저도 그런 생각을 해요. 하지만 전 한 가지 생각이나 감정을 오래 지속시키기가 쉽지 않아요. 무사태평이죠.
좋은 성격이네요. 인간으로서는. 하지만 배우로서는 절실함이나 근성이 없는 것으로 보일지도 몰라요. 하지만 사실 전 엄청나게 독한 사람이에요.
네거티브한 감정이 동력이 될 수 있지만, 길게 보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태평하다는 것은 사실 자기 안에 확고한 질서가 있다는 뜻이겠죠.
맞아요. 제 안에는 완벽히 확신하는 무언가가 있어요.
그게 뭔지는 알고 있나요? 알고 있죠.
그게 뭔가요? 그건 말해줄 수 없어요.(웃음)
과거에 대한 기억이 많나요?
유치원 다닐 때 엄마가 가방 챙겨주면 그것을 메고 밖으로 나가는 순간부터 기억이 다 나요. 하수도 구멍을 매일 들여다보고 햇볕을 피해서 담장 밑으로 걷고. 그때의 소리, 공기의 냄새, 다 기억나요.
최초의 기억은요? 너덧 살 무렵이요. 대청마루를 기어 올라가던.(웃음)
착각 아닌가요?
아니에요. 확신해요. 과거로 돌아간다면? 이 드라마 하면서 많이 받은 질문이었는데, 일단 바꾸고 싶은 과거는 없고요.(웃음) 그때의 저를 더 들여다보고 싶어요. 제가 그때 무엇을 보고 어떻게 행동했는지.
역시 관찰하고 싶은 거군요.
네. 사람들이 저보고 피곤해서 어떻게 사느냐고 하는데 전 너무 행복해요. 앉아서도 세계 여행을 하고, 어떤 이야기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잖아요.
글을 써보면 어때요? 아니요. 그건 다른 영역의 문제인 것 같아요. |
|